사교육 의존도 완화를 위한 입법제안서

cloudnine27
2025-02-03
조회수 104


1. 현황

 2022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78.3%에 달하며, 사교육 시장 규모는 약 26조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학생들의 과도한 학업 부담,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 가중, 교육 불평등 심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2. 문제점

 교육 불평등이 심화되어 저소득층 학생들의 교육 기회 박탈로 이어져 사회 통합을 저해하고, 계층 간 불평등을 고착화시킬 수 있다. 또, 사교육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공교육의 역할이 축소되고, 학교 교육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공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사교육 의존도를 더욱 심화시키는 악순환을 야기한다.


3. 개선방안

방과후 프로그램 확대 및 내실화

1. 다양한 방과후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학생들의 특기 적성 개발을 지원하고, 사교육 수요를 흡수하여 공교육의 역할을 강화한다.

2. 지역 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3. 방과후 프로그램의 질 관리를 강화하고, 참여 학생 만족도를 높여 실질적인 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다.



4. 기대효과

 공교육 강화 및 사교육 규제를 통해 교육 불평등을 완화하고, 모든 학생에게 공정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 통합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과도한 경쟁 완화 및 학생 중심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행복한 학교 생활을 지원하여 건강한 성장 발달을 도모할 것이다. 공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의 다양한 역량을 키워낼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가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것이라 기대한다.


참고: https://www.journals.uchicago.edu/doi/abs/10.1086/648186, https://www.khan.co.kr/



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