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허위정보 확산 방지법에 관한 입법 발의 제안서

suahyoo124
2025-02-05
조회수 52


1. 현황

인터넷과 SNS의 발달로 정보 전달 속도가 빨라졌지만, 동시에 검증되지 않은 가짜뉴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 특히 정치, 경제, 보건 등의 분야에서 허위 정보가 퍼지면서 사회적 혼란을 초래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 기존의 정보통신망법과 형법으로는 가짜뉴스의 유포를 효과적으로 막기 어려운 실정임.


2. 문제점

  • 현재 허위정보 유포에 대한 처벌 기준이 모호하여 단속과 처벌이 어려움.
  • 가짜뉴스를 유포한 사람뿐만 아니라 이를 확산시킨 플랫폼의 책임도 불분명함.
  • 허위정보로 인해 개인과 기업, 정부 기관 등이 피해를 입어도 피해 구제 절차가 복잡하고 소송 기간이 길어 실질적인 피해 보상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음.
  • 선거, 공중보건, 재난 상황에서 가짜뉴스가 확산될 경우 국민의 안전과 민주주의가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음.


3. 개선방안

  • 온라인 허위정보 확산 방지법(가칭)을 신설하여, 고의적으로 허위정보를 생성·유포한 자와 이를 방조한 플랫폼에 대한 법적 책임을 명확히 규정함.
  • 가짜뉴스를 조직적으로 제작·배포하는 행위를 ‘허위정보 범죄’로 규정하고, 이에 대해 징역형 및 벌금형을 강화함.
  • 일정 수 이상의 신고가 접수된 게시물에 대해 플랫폼 사업자가 48시간 내에 검토 및 조치를 의무화하도록 함. 이를 위반할 경우 과징금 부과 및 서비스 이용 제한 조치를 시행함.
  • AI 및 팩트체크 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의무화를 통해 가짜뉴스 확산을 사전 차단함.
  • 가짜뉴스 피해자가 신속하게 구제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명예훼손·허위정보 피해 신고센터 설립 및 피해 복구 지원 기금 조성.


4. 기대효과

  • 허위정보 유포자 및 플랫폼 사업자의 책임을 명확히 하여 가짜뉴스의 확산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음.
  • 신속한 대응을 통해 가짜뉴스로 인한 사회적 혼란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음.
  • 허위정보 피해자들이 빠르게 피해를 구제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으로 법적 보호 강화.
  •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유도하여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건전한 정보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음.


참고: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82814290004672



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