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사이버불링 처벌법 마련

ohj1819
2025-02-05
조회수 46



1. 현황

최근 한국에서는 인터넷과 SNS를 중심으로 사이버불링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음. 특히, 익명성을 이용한 악성 댓글, 허위 사실 유포, 모욕 및 명예훼손 등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정신적 피해와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더욱이, 특정 인물(연예인, 스포츠 선수, 공인 등)을 대상으로 한 악의적인 비방을 통해 조회 수를 유도하여 금전적 이득을 취하는 소위 "사이버 렉카" 또한 증가. 이로 인해 피해자는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안타까운 사례도 발생하고 있음. 그러나 이에 대한 허위사실유포죄, 고소 등 민형사상의 책임을 분명히 명시하고 있음에도, 인터넷 커뮤니티의 특징인 '익명성'으로 인해 이에 대한 처벌 및 대응은 유명인이라도 쉽게 행하지 못하고 있음


2. 문제점

1. 익명성에서 비롯한 추적/검거의 어려움

대부분의 인터넷 커뮤니티는 가입시 개인정보를 제공받으나, 이러한 개인정보는 유명인의 고소 등이 아닌 이상 운영진 측에서 쉽게 건너받기 어려우며 한정된 개인정보로 인해 추적 또한 많은 자원과 시간이 소요됨. 또한 익명으로 글을 쓸 수 있는 커뮤니티의 경우 IP 주소만으로 가해자를 특정해야 하는데 이 또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됨 


2.경찰의 대응 및 법적 처벌 미비

앞서 추적/검거의 어려움에서 비롯된 문제로서 가해/유포자를 잡기 위해 대규모의 인력이 동원되야 하기 때문에 피해자가 유명인이 아닌 이상 경찰 측에서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반려되는 사례가 많음


3. 플랫폼의 미온적 대응

또한 유튜브, SNS 등 주요 플랫폼에서도 악성 댓글과 허위 정보에 대한 적극적인 제재와 모니터링이 부족함. 또한 '표현의 자유'를 이유로 이러한 익명성에 근거한 사이버불링 행위를 방치하는 커뮤니티 또한 증가하는 추세


3. 개선방안

1. 사이버 렉카 규제/처벌법 강화

신고 시스템 신설을 통해 허위사실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제작 및 유포 시 광고 수익 차단.

AI등을 이용한 모니터링을 통해 가짜 뉴스 및 악성 콘텐츠 파악 및에 대한 강력한 법적 조치.


2.플랫폼의 책임 강화법 제정

악성 댓글 및 허위 정보 신고 시스템 강화 및 신속한 삭제 조치 의무화를 담은 내용의 법 제정

정부 기관과의 협업을 통한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책임 부과(예: 악성 콘텐츠 방치 시 벌금 부과).


3 .피해자 보호 및 신고 시스템 구축 및 관련 법률 제정

피해자 지원 센터 운영 및 심리 상담 지원에 대한 법률 제정

온라인 명예훼손 피해자 보호 법률 상담 서비스 제공 및 전문 사이버불링 처리 부서 신설을 통한 업무 효용 증대


4. 기대효과

1. 인터넷 환경 개선:  익명성을 악용한 악성 댓글과 비방이 감소하여 건전한 온라인 문화 조성.

2. 피해자 보호 강화: 사이버불링 피해자의 정신적·법적 보호 시스템이 구축됨으로써 피해 최소화.

3. 사이버 렉카 근절: 허위 사실 유포 및 악성 콘텐츠 생산이 억제되어 인터넷 환경의 신뢰성 증가.

4. 플랫폼의 책임 강화: 인터넷 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악성 콘텐츠를 관리하게 되어 사회적 책임이 강화됨.



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