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노인 복지에 관한 입법 발의 제안

jang4724
2025-02-04
조회수 26


1. 현황

대한민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2025년 20%를 돌파하며 1,000만 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2036년에는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3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경제적 여건에 따라 일부 노인은 체계적인 복지 인프라를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2. 문제점

1. 지역별 노인 인구 비율에 비해 노인복지시설 및 요양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2. 나이 제한, 경제력 등의 이유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이 증가하고 있다.

3. 요양시설 내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을 장기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미비하다.

4. 노인 학대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지만, 이를 예방하고 대응할 체계가 충분하지 않다.


3. 개선방안

1. 노인복지시설 확충

  1) 교육기관과 협력하여 폐교 또는 유휴 건물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 설치 추진

  2) 시설 운영을 위한 재정 지원 확대

2. 노인 학대 예방 및 관리 강화

  1) 요양시설 내 학대 방지위원회 및 학대 신고 전담 직원 배치

  2) 학대 예방을 위한 전문 인력 양성 및 배치 확대

3. 지역별 맞춤형 복지시설 운영

  1) 지역별 노인 인구 비율에 맞춘 유동적인 노인복지시설 설치 및 관리 체계 구축

  2)지역별 노인 인구의 특색을 고려한 특화된 복지시설 설립


4. 기대효과

1. 노인 복지 향상 및 삶의 질 개선

  1) 노인복지시설 확충과 전문 인력 배치를 통해 노인들이 안정적이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2) 경제적 취약계층을 포함한 다양한 노인이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어 복지 사각지대 해소가 가능하다.

2. 노인 학대 예방 및 안전 강화

  1) 요양시설 내 학대 방지위원회 및 신고 전담 인력 운영을 통해 노인 학대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2) 시설 내 인권 보호와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노인들의 신체적·정서적 안전이 보장된다.

3. 지역 균형 발전 및 복지 인프라 확대

  1) 지역별 노인 인구 비율에 맞춰 유동적으로 복지시설을 설치하고 관리함으로써 지역 간 복지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2) 폐교 및 유휴 공간을 활용한 시설 운영을 통해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