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부실 시공 방지 및 정보 공개 강화 개정 제안

goxj
2025-02-05
조회수 76

1. 현황

2023년 4월 29일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 붕괴사고 이후 전국의 LH 아파트 단지 중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지하주차장 기둥을 검사한 결과 102개 단지 중 20개 단지에서 철근이 누락된 것이 적발됨. 이외에도 정부가 전수조사를 통해 ‘부실 시공이 없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여러 아파트 단지에서 철근이 설계 기준보다 적게 시공된 사실이 밝혀졌다. 철근 누락은 건물의 안전성을 심각하게 위협하며, 지진이나 구조적 하중 변화 시 붕괴 위험을 증가시킴. 그러나 현재 시공사, 감리자, 발주 기관에 대한 책임 규정과 처벌 기준이 미비하여 부실 시공이 반복되고 있으며 현장에서는 철근 하나쯤은 빼먹어도 괜찮을 것, 모를 것이라는 관행이 굳어짐.


2. 문제점

철근 누락과 같은 시공 부실이 발생할 경우, 인명 피해와 더불어 사회적인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감리 및 건설 업체의 책임을 명확히 규명하기 어렵고, 법적 처벌이 미비하여 부실 시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제재가 부족하다.

건설업체들은 품질 관리나 안전 관리에 대한 실질적인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있으며, 부실 시공이 반복되고 있다.


3. 개선방안

건설기술진흥법 및 건축법 개정: 철근 및 구조물의 품질 관리 기준을 강화하고, 건설사와 감리 업체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규정한다. 또한, 설계 변경 시 전문가 검토를 의무화하여 구조 안전성을 확보한다.

회수 및 재검토 제도 도입: 부실 시공이 발생한 경우, 해당 건설사는 일정 기간 내에 시정 조치를 취하도록 강제하고, 재시공에 대한 감리와 감독의 권한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재발 방지를 위한 실질적인 개선을 이끌어낸다.

감리 및 시공에 대한 투명성 강화: 건설 현장에서의 시공 과정을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이를 시민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건설사와 감리 업체의 부실한 시공을 외부에서 확인하고 신고할 수 있게 된다.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부실 시공이 반복되는 건설업체에 대해 LH 사업 참여를 제한하거나 향후 입찰에서 제외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부실 시공 업체를 시장에서 배제하는 시스템을 마련한다.


4. 기대효과

국민 안전 보장: 시공 부실로 인한 붕괴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음.

투명한 건설 산업 환경: 감리 및 시공 과정의 투명성을 높여 건설사와 관련 부처의 책임을 명확히 함으로써 부실 시공을 방지하고, 건설 산업의 신뢰도를 높임.


참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093246?sid=101



0 4